본문 바로가기
지식창고

심리학 연구 성격 이론 프로이트 정신역동이론

by 김뽀레버 2022. 6. 5.

심리학 연구 성격 이론 프로이트 정신역동 이론

성격에 대한 여러 논의 중 성격 이론에서는 성격의 일관성과 독특성, 행동의 양상들을 모두 고려하는 접근이 바람직합니다.

성격의 독특성만 강조하여 어떤 성격이 부적응적인지 어떤 성격이 건강한지를 구분하는데도 어려움이 많습니다.

반대로 성격의 일관성만을 강조한다면 다양한 성격의 발달과정을 놓치게 되는 오류를 범 할 수 있습니다.



성격은 그 자체를 구성하는 여러 개별 요소들이 모여 형성되지만 그러한 성격의 요소들로는 환원될 수 없는 새로운 총체적인 방식이 한 개인에게는 존재합니다.

성격은 그 개인이 지닌 부분들의 합 그 이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개인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요소들은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그러한 성격 구성 요소들의 조합되는 방식도 다를 수 있으므로 성격 심리학에 대한 연구 분야는 복잡해지며 하나의 이론으로는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인간의 성격을 구별하고 범주화하여 개인마다 성격 차이를 밝히고 반응과 행동을 예언하고자 하는 연구는 오래전부터 있었습니다.

프로이트의 정신역동 이론에서 성격에 대해서 정교한 이론을 제시하였습니다.
프로이트는 정신과 의사로서 오랜 경험을 근거로 하여 인간의 역동적 발달과정과 정신 구조를 이론화하였습니다.

그가 내세운 정신분석학은 심리학 전반에 막대한 영향을 주었으며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이론에서는 무의식적 동기와 정신 결정론이라는 요소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무의식적 동기>
무의식적 동기란 프로이트가 이론에서 마음을 빙산으로 비유하면서 나오게 된 개념입니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마음을 무의식, 전의식, 의식 3가지로 구분하였으며

무의식을 빙산에서 수면에 잠긴 부분으로 비유했으며, 충동이나 욕구가 있는 부분으로 보았습니다

인간의 내면중 큰 부분을 차지하는 무의식은 밖으로 표출되고 충족되고 싶어 하기 때문에 인간의 정서와 생각 행동에 막대한 영향을 발취하고 있습니다.

전의식이란 빙산으로 비유했을 때 수면에 바로 밑에 있으며 자각하려고 노력하면 접근이 가능한 부분입니다.
의식이란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부분으로 수면 윗부분에 존재합니다. 인간의 경험, 기억, 감정, 감각 등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프로이트는 사람들은 본능에 의해서 지배받는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러한 본능은 긴장이 감소하는 것을 원하며 긴장을 감소시킴으로써 쾌락을 경험합니다.

<성격의 구조 3가지>


프로이트가 나눈 성격의 구조 3가지원초아 자아 초자아입니다.

인간은 행동을 원초아 자아 초자아 간의 상호작용으로 여겼습니다.

원초아란 성격의 기초가 되는 요소로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존재합니다.
따라서 인간이 기본 욕구인 배설, 배고픔. 성적 욕구, 공격적 욕구가 속하게 되는 부분입니다.
원초아는 쾌락 추구를 맹목적이고 즉각적으로 하며 미래에 어떤 대가를 지불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고민하지 않고 당장 현재의 욕구를 충족하고자 합니다. 원초아의 욕구 충족이 되지 않는다면 상상이나 공상을 통해서 충족되지 못한 욕구를 대신하기도 합니다.

자아는 원초아와는 다르게 현실을 추구합니다.

자아는 원초아에 의해 욕구를 충족하고자 했던 사람은 욕구 충족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경험하고 원초아와 분화시킨 부분을 의미합니다.
원초아의 욕구만을 추구하던 아이는 현실 상황을 점차 인식하면서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바뀌게 됩니다.

이것을 형성 원리라고 하며 형성 원리는 주위의 상황이나 환경을 고려하여 자기 행동이 가져오는 결과를 추측하며 행동하게 합니다.

원초아에서 파생된 자아는 원초아처럼 욕구 만족을 최우선 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무조건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애쓰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욕구를 어떤 방법으로 충족하고 환경에 맞게 지연하고 억제할 것인지에 대해서 자아는 이러한 과정을 사용합니다. 초자아는 인간의 선악을 평가하는 재판관의 역할이며 자아에서 분화되어 나왔습니다.

우리가 추구하고 있는 도덕적 측면, 관습, 이상 등을 의미하고 있으며 원초아와는 대립하는 개념입니다. 인간은 성장 과정에서 어떤 행동을 했을 때 벌을 받는지, 또는 칭찬받는지를 알게 되며 그러한 과정에 가치와 도덕적 규범이 내면화되어 이후엔 상이나 칭찬받은 행동은 하게 되며 벌을 받을 행동은 억제하게 됩니다. 자신의 행들이 초자아의 요구에 부합하게 되면 스스로 자부심을 느끼고 만족하지만 부합하지 않는다면 자책하고 불안과 죄책감을 느끼게 됩니다.
따라서 불안이란 원초아와 초자아에 의한 갈등에서 생겨난 것이며
이러한 불안을 해소하게 하기 위해서 치한, 투사, 억압과 같은 방어기제를 사용하여 일시적으로나마 불안을 줄이게 됩니다.

반응형

댓글